운영체제 4

WSL2 - Windows에서 linux를 돌리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

WSL이란?WSL(Windows Subsystem for Linux)는 Windows에서 리눅스 환경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하위 시스템특히 WSL2는 리눅스 커널을 직접 포함하며, WSL1과 구조적으로 완전히 다름🔰 WSL 개요WSL1 (2016~): Windows의 NT 커널 위에서 리눅스 시스템 콜을 호환 계층(LXSS)으로 번역해 실행WSL2 (2020~): 리눅스 커널을 포함한 경량 VM을 실행하여 실제 리눅스 환경을 구동→ WSL1: 시스템 콜 에뮬레이션→ WSL2: 실제 가상 머신⚙️ WSL2 vs WSL1 아키텍처 비교항목WSL1WSL2커널NT 커널 기반 (리눅스 API를 NT에서 처리)리눅스 커널 자체를 Hyper-V VM으로 실행실행 방식시스템 콜을 Windows에서 번역 처리Hype..

engineering 2025.06.03

OS - 가상화(Virtualization), 네트워크 격리(Isolation)

가상화(Virtualization)와 보안 격리 실습 환경 정리 1. 가상화의 종류 에뮬레이터: 완전히 다른 아키텍처도 모방 가능 (속도 느림) 소프트웨어 가상화: 호스트 자원을 에뮬레이션하여 VM 실행 (예: VirtualBox) 하이퍼바이저 가상화: 드라이버 없이 직접 디바이스에 접근 (성능↑) OS 레벨 가상화: 커널 공유 기반, 빠르지만 격리 수준 낮음 (예: WSL2) 2. Hypervisor의 분류 Type 1 (Bare-metal): 하드웨어 위 직접 설치 (예: Hyper-V, ESXi) Type 2 (Hosted): 기존 OS 위에 설치 (예: VirtualBox, VMware Workstation) 3. 구조별 가상화 예시 ✅ VirtualBox / VMware Workstati..

OS - 운영체제(Operating System) 기본 - 2

운영체제(OS)의 기본 개념 정리 1. 프로그램 → 프로세스 OS는 하드디스크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드 후 실행. 메모리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 = 프로세스(Process) 프로세스 상태: 실행 / 실행 가능 / 대기 2. OS의 RASIS Reliability: 고장 없이 신뢰 가능 Availability: 높은 가동률 Serviceability: 고장 복구 가능 Integrity: 데이터 손상 방지 Security: 보안 및 접근 제어 3. Task와 Job Task: OS 기준 작업 단위 (≒ 프로세스) Job: 사용자 기준 작업 단위 Job Step → Task로 분해 → CPU 처리 4. 스케줄링 OS는 여러 Task를 동시에 처리 CPU 할당 순서를 결정 = 스케줄링 → ..

OS - 운영체제(Operating System) 기본 - 1

운영체제(OS)를 알기위해 먼저 알아야되는 것들1. OS(운영체제)의 핵심 역할✔ 프로세스 관리: 실행 중인 프로그램(프로세스)들의 생성/삭제/스케줄링✔ 메모리 관리: RAM 공간의 할당과 해제, 보호 및 공유✔ 파일/디스크 관리: 저장장치(HDD, SSD)의 파일 접근과 구조 관리✔ 입출력(I/O) 장치 관리: 키보드, 마우스, 디스크 등 외부 장치 제어✔ 네트워크 관리: 통신 프로토콜, 소켓, 포트 등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📌 본질: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가 다룰 수 있도록 “추상화 계층”을 제공2. OS는 기본 소프트웨어다컴퓨터가 동작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.✔ 예: Windows, Linux, macOS, Android 등3. 미들웨어(Middleware)란?운영체제와..